티스토리 뷰
프리랜서로 용역을 제공하고 3.3% 세금을 뗀 채로 돈을 받으셨다면?
끝이 아닙니다. 매년 5월에는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신고 전에 꼭 준비해야 할 서류와 개념을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.
1. 3.3% 원천징수란?
프리랜서가 받은 수입에서 3.3%는 '세금 선납'입니다. 정확히는 소득세 3% + 지방소득세 0.3%로, 나중에 연간 실제 세금과 비교해 정산해야 합니다.
중요: 3.3%를 떼더라도 종합소득세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.
2.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
- ✅ 연간 1회라도 3.3% 공제된 용역비를 받은 경우
- ✅ 플랫폼 수익, 광고수익 등 기타소득이 있는 경우
- ✅ 총소득이 100만 원 이상이면 신고 의무 있음
TIP: 미신고 시 환급도 못 받고,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3. 신고 전 준비할 서류 & 정보
- 📄 지급명세서 (원천징수 내역) – 홈택스에서 자동 조회 가능
- 💳 프리랜서 경비 증빙 자료 – 교통비, 장비 구입, 통신비 등
- 🏦 계좌이체·카드사용 내역 – 사업 관련 지출 확인용
- 📝 개인정보 (주민등록번호, 계좌번호 등) – 환급 계좌 등록
TIP: 소득이 2,400만 원 이하라면 ‘단순경비율’로 간단 신고 가능
4. 신고는 언제, 어디서?
- 신고 기간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- 신고 방법: 홈택스 온라인 신고 or 세무대리인 대행
- 홈택스 경로: [신고/납부] → [종합소득세] → [정기신고]
5. 신고 전 꼭 알아야 할 용어
- 사업소득: 프리랜서, 1인 창업자 등의 수익
- 단순경비율: 일정 비율로 경비를 인정받는 방식
- 기장신고: 실제 수입/지출 내역을 기준으로 세금 계산
- 세액공제: 연금, 보험료, 교육비 등을 통해 세금 감면
TIP: 처음 신고한다면 단순경비율이 유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국민연금 납부액
- 국세 신고 달력
- 연금저축펀드
- 대둔산 케이블카
- 국민연금 계산
- 경북 여행
- 다카야마
- 홈택스 알림
- 사업자등록 타이밍
- 세금 신고일
- 예산 가볼만한곳
- 1인사업자 세무일정
- 세무 일정 체크리스트
- 프리랜서 세금 q&a
- 세금 신고 캘린더
- 프리랜서 고용보험
- 오창호수공원
- 프리랜서 사업자 비교
- 세무일정 자동알림
- 예당호 출렁다리
- 홈택스 소득신고
- 국내여행 추천
- 지역가입자 보험료
- 일본 소도시여행
- 국민연금 수령액
- 프리랜서 전화
- 가산세 방지 팁
- 프리랜서 소득신고
- 사업자 장단점
- 일본 소도시 추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