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프리랜서로 용역을 제공하고 3.3% 세금을 뗀 채로 돈을 받으셨다면?
끝이 아닙니다. 매년 5월에는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신고 전에 꼭 준비해야 할 서류와 개념을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.

3.3% 원천징수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전 준비사항
3.3% 원천징수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전 준비사항

1. 3.3% 원천징수란?

프리랜서가 받은 수입에서 3.3%는 '세금 선납'입니다. 정확히는 소득세 3% + 지방소득세 0.3%로, 나중에 연간 실제 세금과 비교해 정산해야 합니다.

중요: 3.3%를 떼더라도 종합소득세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.

2.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

  • ✅ 연간 1회라도 3.3% 공제된 용역비를 받은 경우
  • ✅ 플랫폼 수익, 광고수익 등 기타소득이 있는 경우
  • ✅ 총소득이 100만 원 이상이면 신고 의무 있음

TIP: 미신고 시 환급도 못 받고,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3. 신고 전 준비할 서류 & 정보

  • 📄 지급명세서 (원천징수 내역) – 홈택스에서 자동 조회 가능
  • 💳 프리랜서 경비 증빙 자료 – 교통비, 장비 구입, 통신비 등
  • 🏦 계좌이체·카드사용 내역 – 사업 관련 지출 확인용
  • 📝 개인정보 (주민등록번호, 계좌번호 등) – 환급 계좌 등록

TIP: 소득이 2,400만 원 이하라면 ‘단순경비율’로 간단 신고 가능

4. 신고는 언제, 어디서?

  • 신고 기간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  • 신고 방법: 홈택스 온라인 신고 or 세무대리인 대행
  • 홈택스 경로: [신고/납부] → [종합소득세] → [정기신고]

[홈택스 바로가기]

5. 신고 전 꼭 알아야 할 용어

  • 사업소득: 프리랜서, 1인 창업자 등의 수익
  • 단순경비율: 일정 비율로 경비를 인정받는 방식
  • 기장신고: 실제 수입/지출 내역을 기준으로 세금 계산
  • 세액공제: 연금, 보험료, 교육비 등을 통해 세금 감면

TIP: 처음 신고한다면 단순경비율이 유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