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“사업자등록은 했는데, 세금은 뭐부터 챙겨야 하지?” 1인 크리에이터, 프리랜서, 온라인 판매자까지… 사업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부가세와 종합소득세 구조를 2025년 기준으로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.

1인 사업자를 위한 세금 구조 총정리 (2025년 기준)
1인 사업자를 위한 세금 구조 총정리 (2025년 기준)

1. 사업자 등록의 종류 – 간이 vs 일반과세자

부가세 납부 방식에 따라 간이과세자일반과세자로 나뉘며, 이에 따라 세금 구조와 신고 의무가 달라집니다.

구분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
적용 기준 연 매출 8,000만 원 미만 연 매출 8,000만 원 이상
부가세 납부 세금계산서 발행 불가 (간편 계산) 세금계산서 발행 필수
신고 주기 연 1회 연 2회 (1월, 7월)
세금 환급 환급 불가 환급 가능 (지출 많을 경우)

TIP: 초기 매출이 적거나 경비율이 낮은 업종은 간이과세자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.

2. 1인 사업자가 납부해야 할 대표 세금 2가지

① 부가가치세 (VAT)

소비자에게 받은 매출에 10%의 세금을 부과하고, 지출 시 부담한 세금(매입세액)을 차감해 납부하는 구조입니다.

  • 일반과세자: 6개월 단위 신고 (1월·7월)
  • 간이과세자: 연 1회 신고 (1월)

예시: 1천만 원 매출 → 100만 원 부가세 발생, 경비 중 30만 원 공제 → 납부세액 70만 원

② 종합소득세

사업자 소득은 종합소득세로 매년 5월에 신고합니다. 사업소득, 근로소득, 이자·배당소득 등 다른 소득과 합산되며, 누진세율 구조로 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.

  • 과세표준에 따라 6% ~ 45% 누진세율
  • 사업소득금액 = 수입금액 – 필요경비

3. 세무기초: 세금 신고를 위한 준비물

  • 1) 현금영수증, 카드매출, 세금계산서 정리
  • 2) 지출 증빙(경비): 카드내역, 간이영수증, 계좌이체내역
  • 3) 홈택스 or 세무대행 여부 결정

TIP: 매월 매출과 경비를 구글 시트나 회계 앱으로 정리해 두면 연말 신고 시 큰 도움이 됩니다.

4. 1인 사업자 세금 실수 유형 TOP 3

  • ① 사업자등록 없이 수익 활동: 무등록 사업자로 가산세 부과
  • ② 세금계산서 미발행/미수취: 비용 인정 거부 또는 가산세 부과
  • ③ 매입증빙 누락: 필요경비 불인정 → 세액 증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