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“사업자등록은 했는데, 세금은 뭐부터 챙겨야 하지?” 1인 크리에이터, 프리랜서, 온라인 판매자까지… 사업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부가세와 종합소득세 구조를 2025년 기준으로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.
1. 사업자 등록의 종류 – 간이 vs 일반과세자
부가세 납부 방식에 따라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로 나뉘며, 이에 따라 세금 구조와 신고 의무가 달라집니다.
구분 | 간이과세자 | 일반과세자 |
---|---|---|
적용 기준 | 연 매출 8,000만 원 미만 | 연 매출 8,000만 원 이상 |
부가세 납부 | 세금계산서 발행 불가 (간편 계산) | 세금계산서 발행 필수 |
신고 주기 | 연 1회 | 연 2회 (1월, 7월) |
세금 환급 | 환급 불가 | 환급 가능 (지출 많을 경우) |
TIP: 초기 매출이 적거나 경비율이 낮은 업종은 간이과세자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.
2. 1인 사업자가 납부해야 할 대표 세금 2가지
① 부가가치세 (VAT)
소비자에게 받은 매출에 10%의 세금을 부과하고, 지출 시 부담한 세금(매입세액)을 차감해 납부하는 구조입니다.
- 일반과세자: 6개월 단위 신고 (1월·7월)
- 간이과세자: 연 1회 신고 (1월)
예시: 1천만 원 매출 → 100만 원 부가세 발생, 경비 중 30만 원 공제 → 납부세액 70만 원
② 종합소득세
사업자 소득은 종합소득세로 매년 5월에 신고합니다. 사업소득, 근로소득, 이자·배당소득 등 다른 소득과 합산되며, 누진세율 구조로 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.
- 과세표준에 따라 6% ~ 45% 누진세율
- 사업소득금액 = 수입금액 – 필요경비
3. 세무기초: 세금 신고를 위한 준비물
- 1) 현금영수증, 카드매출, 세금계산서 정리
- 2) 지출 증빙(경비): 카드내역, 간이영수증, 계좌이체내역
- 3) 홈택스 or 세무대행 여부 결정
TIP: 매월 매출과 경비를 구글 시트나 회계 앱으로 정리해 두면 연말 신고 시 큰 도움이 됩니다.
4. 1인 사업자 세금 실수 유형 TOP 3
- ① 사업자등록 없이 수익 활동: 무등록 사업자로 가산세 부과
- ② 세금계산서 미발행/미수취: 비용 인정 거부 또는 가산세 부과
- ③ 매입증빙 누락: 필요경비 불인정 → 세액 증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홈택스 알림
- 세무일정 자동알림
- 국내여행 추천
- 프리랜서 전화
- 국민연금 수령액
- 대둔산 케이블카
- 경북 여행
- 프리랜서 세금 q&a
- 1인사업자 세무일정
- 국세 신고 달력
- 프리랜서 사업자 비교
- 세무 일정 체크리스트
- 국민연금 계산
- 가산세 방지 팁
- 예산 가볼만한곳
- 프리랜서 소득신고
- 세금 신고 캘린더
- 연금저축펀드
- 예당호 출렁다리
- 국민연금 납부액
- 일본 소도시여행
- 세금 신고일
- 다카야마
- 홈택스 소득신고
- 프리랜서 고용보험
- 지역가입자 보험료
- 사업자등록 타이밍
- 오창호수공원
- 일본 소도시 추천
- 사업자 장단점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