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홈택스로 프리랜서 소득신고 따라하기
홈택스로 프리랜서 소득신고 따라하기

 

3.3% 원천징수를 받았다고 세금 신고가 끝난 게 아닙니다.
프리랜서는 5월에 종합소득세를 홈택스로 직접 신고해야 합니다.
이 글에서는 단순경비율 기준으로 홈택스에서 신고하는 모든 단계를 2025년 기준으로 안내해 드립니다.

1. 신고 전 준비물 다시 확인!

  • 📄 원천징수 지급명세서 (홈택스 자동 조회 가능)
  • 💳 경비 증빙 (카드내역, 통신비, 장비 구입 등)
  • 🏦 환급받을 계좌 정보
  • 🔐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(카카오, 네이버 등)

2. 홈택스 로그인 및 신고 시작

  1. 홈택스 접속 → www.hometax.go.kr
  2. 상단 메뉴: [신고/납부] → [종합소득세] → [정기신고 (2025)]
  3. 인증서 로그인 또는 간편인증 선택
  4. ‘종합소득세 신고서 작성’으로 이동

TIP: 모바일 손택스도 가능하지만, PC가 더 편리합니다.

3. 소득유형 선택

  • 사업소득’ 항목 체크
  • 프리랜서 수입은 대부분 ‘기타 서비스업’ → 업종코드 자동 조회
  • 단순경비율 적용대상’인지 확인 (연매출 2,400만 원 이하일 가능성 높음)

4. 수입금액 입력

홈택스가 자동 불러온 원천징수 내역을 확인하고, 누락된 소득이 있다면 추가 입력합니다.

  • 자동 조회된 수입: 확인 후 ‘다음’
  • 현금거래, 플랫폼 수익 등 추가 수입은 수동으로 입력

주의: 신고 누락 시 추징세 + 가산세 발생!

5. 필요경비 선택 – 단순경비율 또는 기장

대부분의 프리랜서는 ‘단순경비율’로 신고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  • 홈택스에서 자동으로 해당 비율 적용
  • 경비 증빙 없이 일정 비율을 자동 공제
  • 기장(복식부기)은 수입/지출 자료가 있을 경우 선택 가능

6. 세액공제 입력

  • 국민연금, 건강보험료
  • 신용카드 사용액
  • 연금저축, IRP 납입액
  • 교육비, 기부금 등

TIP: 신용카드 사용액, 연금저축 납입은 공제율이 높으므로 반드시 입력!

7. 신고서 제출 및 납부

  • 최종 확인 후 [신고서 제출]
  • 납부할 세액이 있다면 즉시 납부 or 추후 납부
  • 환급 받을 경우 환급 계좌 확인 필수

주의: 신고서만 제출하고 납부를 하지 않으면 미납 상태로 간주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