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처음 일 시작할 때 “사업자부터 낼까요? 그냥 프리랜서로 할까요?” 정말 자주 받는 질문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업종, 거래처, 매출 규모별로 어떤 선택이 유리한지 실제 사례를 통해 비교해 보겠습니다.
1. 프리랜서로 시작해서 괜찮은 경우
📌 사례 1: 콘텐츠 크리에이터 (매출 월 100만 원 이하)
- 유튜브, SNS 콘텐츠 제작 수익
- 광고 수익, 제휴 링크 수입
- 월 매출이 적고 거래처가 대부분 해외 플랫폼
✅ 프리랜서로 충분: 3.3% 원천징수 대상도 아니고, 소득신고만 잘하면 문제없음
📌 사례 2: 디자인 외주 프리랜서
- 개인 클라이언트 위주로 단기 작업
- 직거래 방식, 세금계산서 요구 없음
✅ 초기에는 프리랜서로 시작 후 매출 증가 시 사업자 전환 추천
2. 사업자등록이 유리한 경우
📌 사례 3: 기업 거래 많은 영상 제작 프리랜서
- B2B 중심, 세금계산서 요구 빈번
- 장비 구입 많고 매입 비용 크다
✅ 일반과세자 등록이 유리: 세금계산서 발행, 부가세 환급 가능
📌 사례 4: 쇼핑몰·스마트스토어 창업자
- 카드 결제 시스템 필요
- 네이버, 쿠팡, 배민 등 플랫폼 연동 필수
✅ 사업자 필수: 사업자등록 없으면 입점·연동 자체 불가
3. 기준을 정하자 – 언제 전환해야 할까?
항목 | 프리랜서 적합 | 사업자등록 추천 |
---|---|---|
월 평균 매출 | 200만 원 이하 | 300만 원 이상 |
거래처 유형 | 개인 고객 중심 | 기업·단체 |
세금계산서 필요 | × | ○ |
장비/소모품 매입 | 적음 | 많음 (환급 목적) |
TIP: 프리랜서에서 시작하되, 위 조건에 부합하면 사업자 전환을 고려하세요.
4. 프리랜서 신고 시 꼭 주의할 점
- 📌 수입이 있어도 원천징수 안 된 경우, 반드시 5월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
- 📌 3.3% 원천징수는 ‘납세 끝’이 아니라 ‘선납’일 뿐
- 📌 연 750만 원 이상 벌면 국민연금·건강보험 부과 대상
신고 누락 시 과태료, 건강보험 폭탄 유의!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가산세 방지 팁
- 세무 일정 체크리스트
- 대둔산 케이블카
- 사업자등록 타이밍
- 예산 가볼만한곳
- 프리랜서 전화
- 국민연금 계산
- 프리랜서 고용보험
- 다카야마
- 세금 신고 캘린더
- 국세 신고 달력
- 세금 신고일
- 사업자 장단점
- 프리랜서 소득신고
- 경북 여행
- 프리랜서 사업자 비교
- 예당호 출렁다리
- 국민연금 납부액
- 일본 소도시 추천
- 홈택스 소득신고
- 오창호수공원
- 홈택스 알림
- 일본 소도시여행
- 세무일정 자동알림
- 1인사업자 세무일정
- 국내여행 추천
- 연금저축펀드
- 프리랜서 세금 q&a
- 지역가입자 보험료
- 국민연금 수령액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