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국민연금 납부액 계산법 및 수령액 예상 방법 완벽 정리
국민연금 납부액 계산법 및 수령액 예상 방법 완벽 정리

내가 매달 내는 국민연금, 과연 나중에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? 국민연금의 납부 구조부터 연금 수령액을 예측하는 방법까지, 2025년 기준으로 명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.

1. 국민연금 납부액 계산법 (2025년 기준)

국민연금 납부액은 본인의 월 소득에 9%의 보험료율을 곱하여 산정됩니다. 직장가입자는 근로자와 고용주가 각각 4.5%씩 분담하며, 지역가입자는 전체 9%를 스스로 부담합니다.

예시: 월 소득 300만 원 → 300만 원 × 9% = 27만 원 (직장인은 절반인 13만 5천 원 부담)

  • 최저 기준소득월액: 36만 원 (월 보험료 약 32,400원)
  • 최고 기준소득월액: 590만 원 (월 보험료 약 531,000원)

2. 국민연금 수령액은 어떻게 정해질까?

연금 수령액은 가입 기간, 보험료 납부액, 연금수령 시기에 따라 달라집니다. 기본적으로는 아래 두 요소의 합으로 구성됩니다.

  • 기초연금액: 가입 기간에 따라 일정한 기본 연금
  • 소득비례연금액: 납부한 보험료와 평균 소득에 따라 달라짐

※ 10년 이상 가입해야 노령연금 수급 자격이 생기며, 가입 기간이 길수록 수령액이 늘어납니다.

3. 실제 수령액 예시 (2025년 기준)

아래는 예상 수령액의 예시입니다. 단, 물가상승률, 가입 조건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납부기간 평균 월 소득 예상 월 수령액 (62세 기준)
10년 200만 원 약 25만 원
20년 250만 원 약 51만 원
30년 300만 원 약 75만 원

※ 상기 수치는 국민연금공단 연금 모의계산기를 기준으로 산정된 예시입니다.

4. 연금 수령 시기 조절로 금액을 늘릴 수 있다?

  • 조기 수령: 60세 이상, 10년 이상 가입 시 조기 수령 가능 (5년 일찍 수령 시 약 30% 감소)
  • 연기 수령: 수급 시작을 만 65세~70세로 연기하면 최대 36%까지 연금액 증가

예를 들어, 만 62세에 수령 시 월 70만 원이던 연금이 연기를 통해 만 70세부터 수령하면 약 95만 원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. 장수 리스크를 고려하면 연기 수령 전략도 검토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.

5. 내 연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 (모의계산 방법)

국민연금공단에서는 온라인으로 내 연금 알아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간단한 본인 인증만으로 아래 내용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지금까지 납부한 연금액 총합
  • 현재 기준 예상 수령액
  • 수령 시기 변경 시 차이

👉 국민연금공단 내 연금 알아보기 바로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