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내가 매달 내는 국민연금, 과연 나중에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? 국민연금의 납부 구조부터 연금 수령액을 예측하는 방법까지, 2025년 기준으로 명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.
1. 국민연금 납부액 계산법 (2025년 기준)
국민연금 납부액은 본인의 월 소득에 9%의 보험료율을 곱하여 산정됩니다. 직장가입자는 근로자와 고용주가 각각 4.5%씩 분담하며, 지역가입자는 전체 9%를 스스로 부담합니다.
예시: 월 소득 300만 원 → 300만 원 × 9% = 27만 원 (직장인은 절반인 13만 5천 원 부담)
- 최저 기준소득월액: 36만 원 (월 보험료 약 32,400원)
- 최고 기준소득월액: 590만 원 (월 보험료 약 531,000원)
2. 국민연금 수령액은 어떻게 정해질까?
연금 수령액은 가입 기간, 보험료 납부액, 연금수령 시기에 따라 달라집니다. 기본적으로는 아래 두 요소의 합으로 구성됩니다.
- 기초연금액: 가입 기간에 따라 일정한 기본 연금
- 소득비례연금액: 납부한 보험료와 평균 소득에 따라 달라짐
※ 10년 이상 가입해야 노령연금 수급 자격이 생기며, 가입 기간이 길수록 수령액이 늘어납니다.
3. 실제 수령액 예시 (2025년 기준)
아래는 예상 수령액의 예시입니다. 단, 물가상승률, 가입 조건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납부기간 | 평균 월 소득 | 예상 월 수령액 (62세 기준) |
---|---|---|
10년 | 200만 원 | 약 25만 원 |
20년 | 250만 원 | 약 51만 원 |
30년 | 300만 원 | 약 75만 원 |
※ 상기 수치는 국민연금공단 연금 모의계산기를 기준으로 산정된 예시입니다.
4. 연금 수령 시기 조절로 금액을 늘릴 수 있다?
- 조기 수령: 60세 이상, 10년 이상 가입 시 조기 수령 가능 (5년 일찍 수령 시 약 30% 감소)
- 연기 수령: 수급 시작을 만 65세~70세로 연기하면 최대 36%까지 연금액 증가
예를 들어, 만 62세에 수령 시 월 70만 원이던 연금이 연기를 통해 만 70세부터 수령하면 약 95만 원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. 장수 리스크를 고려하면 연기 수령 전략도 검토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.
5. 내 연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 (모의계산 방법)
국민연금공단에서는 온라인으로 내 연금 알아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간단한 본인 인증만으로 아래 내용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지금까지 납부한 연금액 총합
- 현재 기준 예상 수령액
- 수령 시기 변경 시 차이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세무일정 자동알림
- 홈택스 알림
- 세무 일정 체크리스트
- 1인사업자 세무일정
- 국민연금 납부액
- 다카야마
- 국세 신고 달력
- 프리랜서 세금 q&a
- 예당호 출렁다리
- 홈택스 소득신고
- 프리랜서 고용보험
- 일본 소도시 추천
- 대둔산 케이블카
- 프리랜서 전화
- 사업자등록 타이밍
- 국민연금 계산
- 국민연금 수령액
- 세금 신고 캘린더
- 예산 가볼만한곳
- 국내여행 추천
- 일본 소도시여행
- 사업자 장단점
- 지역가입자 보험료
- 프리랜서 소득신고
- 연금저축펀드
- 세금 신고일
- 경북 여행
- 가산세 방지 팁
- 프리랜서 사업자 비교
- 오창호수공원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